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일상의 전쟁을 탐색하다_'제2회 전쟁과 여성영화제'

기사승인 2024.06.11  04:52:51

공유
default_news_ad2

- ‘전쟁의 일상화, 일상의 전쟁화’ 주제로 7편의 영화 상영과 토크, 포럼 등

영화를 통해 여성과 전쟁, 여성주의와 평화, 젠더와 군사주의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탐색하는 <제2회 전쟁과여성영화제 , WoWFF 2024 >(주최·주관 | 프로젝트38, 지원 |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가  6월 28일(금)부터 6월 30일(일)까지 인디스페이스에서 열린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물론 이스라엘 가자 지구 전쟁까지 지구촌 곳곳에서 다툼과 반목이 심화되고 있는 현재, 다시 한번 우리 사회가 고민해야 할 전쟁과 여성, 그리고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이야기를 깊이 있게 나누고자 한다.

영상문화를 연구하고 기획하는 집단, 프로젝트38(project38)의 페미니스트 영화연구자 손희정, 심혜경, 조혜영이 이끌어 나가는 <전쟁과여성영화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악화일로를 걷던 지난해 첫 행사를 열어 좌석 점유율 93%, 관객 만족도 97%를 기록하며 열띤 응원과 지지를 받은 바 있다.

 

<제2회 전쟁과여성영화제 The 2nd Women of War Film Festival>의 주제는 ‘전쟁의 일상화, 일상의 전쟁화’다. 어느덧 우리 삶의 한 풍경으로 자리를 잡은 전쟁의 모습을 동시대의 시선으로 살피는 동시에, 과거의 전쟁에서 얻은 상흔을 안고 일상을 전쟁으로 경험하는 이들을 조명하겠다는 의미다.

7편의 영화 상영과 토크, 포럼, 극장 내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부대행사로 꾸려질 올해 영화제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에서의 폭력과 학살 현장을 영화를 통해 점검한다. 또한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의 지원으로 진행하는 영화제인 만큼 ‘위안부’를 소재로 한 다양한 영화 역시 소개할 계획이다.

 

전쟁과여성영화제의 손희정, 심혜경, 조혜영 세 프로그래머는 “일본군‘위안부’문제를 제대로 알리고 젠더 관점에서 이 문제를 다루어 온 페미니즘의 역사를 공유한다는 기존의 문제의식에 더해, 전쟁과 여성이 맺는 복잡한 관계를 탐구하려고 한다. 또 세계 시민으로서 전 지구적 열전에 대해 함께 생각하는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올해 영화제의 방향성을 설명했다.

또한 전쟁이 우리 삶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우리 사회를 운영하는 데 가장 효율적인 방식이라고 믿는 군사주의적 세계관이 얼마나 자연스럽게 일상에 스며들어 있는지 등을 대담과 포럼을 통해 살펴볼 예정이다.

 

세 프로그래머는 전쟁과여성영화제가 “장기적인 계획 아래 시작된 행사가 아니었음에도 관객과 동료 시민의 지지에 힘입어 2회 영화제를 이어 나갈 수 있게 되었다.”고 전하며 “피스모모나 전쟁없는세상 등 평화운동 단체와의 협업, 관객과 평화 연구자 및 평화 활동가들과의 만남으로 더욱 풍성하고 확장된 전쟁과여성영화제가 될 것.”이라는 포부를 전했다.

 

한편, 어라우드랩(김보은, 김소은 디자이너)이 참여한 제2회 전쟁과여성영화제 포스터는 뉴스 화면과 전쟁 이미지를 콜라주하며 일상화된 전쟁을 묘사해 눈길을 끈다. 어라우드랩은 “미디어를 통해 무수히 반복되고 확대 재생산되는 이미지로 인해 전쟁을 상시적인 것으로 감각”하고 있는 현실을 포스터 디자인으로 짚어 내었다고 설명하며, “전쟁을 우리와는 상관없는 소수의 액티비즘이나 국지적 이슈, 또는 따분한 논쟁거리로 치부하고 외면하고 있지는 않은가 질문하고 싶었다.”고 창작 의도를 전했다.

 

제2회 전쟁과여성영화제는 7편의 영화 상영과 씨네토크, 극장에서 이뤄지는 교육 프로그램인 ‘극장교실’, 평화주의적 젠더의 관점으로 전쟁의 역사를 돌아보는 포럼 등 다양한 부대행사를 곧 공개할 예정이다. 모든 행사는 무료로 진행된다. 제2회 전쟁과여성영화제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프로젝트38 홈페이지(https://oproject38.com/)와 인스타그램(@o.project38), 페이스북(@o.project38) 등의 SNS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6.28(금) - 6.30일(일) 인디스페이스

 

라운드테이블

영화는 전쟁 속 여성을 어떻게 표상해야 하는가

7월 2일(일) 18:30

사회 심혜경(프로젝트 38)    패널 이라영(예술사회학 연구자), 이지은(문학평론가), 허철녕(<206: 사라지지 않는> 감독)

지난 몇 년간 한국 사회는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어떻게 재현할 것인가에 대해 뜨거운 논쟁을 벌였다. 이 쟁점을 확장해 영화가 전쟁 속 여성을, 전쟁과 여성의 관계를 어떻게 재현해야 하는가를 함께 고민하려 한다. 전쟁과 전쟁 경험을 여성 혹은 소수자의 관점으로 재현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우리가 고민하는 미래의 전쟁영화는 기존의 전쟁영화가 만들어내는 이미지를 넘어 ‘스페이스-오프(space-off)’의 상상력을 작동시킬 수 있을까? 전쟁영화의 영웅주의는 여성주의와 화해할 수 있을 것인가?

 

포스터 디자인 - 어라우드랩

전쟁과여성영화제의 포스터는 전쟁 속 여성의 이미지를 세 종류로 담았다. 일부 프레임의 교체로 발생하는  영상효과 데이터모쉬(datamosh)로 군대의 위장 무늬(camouflage)를 변형해 다양한 여성의 모습을 중첩시켰다. ‘위장’하는 군사주의, 남성 중심의 전쟁과 그 기록, 미디어에서 재현되는 전쟁 속 여성의 스테레오 타입들에 균열을 내고자 했다. 

 

관람 무료

사전 신청 2023년 6월 7일(수)~7월 2일(일), 구글 폼 신청 선착순 마감, 마감 시 현장 접수 불가

신청 링크  https://forms.gle/hfuz2UVS3sD9nXxz9

QRCodeImg_(1).jpg

 

--------------------------------------------------------------------------

제2회 전쟁과여성영화제(The 2nd Women of War Film Festival, WoWFF 2024)

일정 | 2024년 6월 28일(금)~30일(일)

장소 | 인디스페이스(2호선·공항철도·경의중앙선 홍대입구역)

주최·주관 | 프로젝트38(project38)

지원 |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협력 | 인디스페이스, 타임앤스페이스, 성적소수문화인권연대 연분홍치마

이수민 기자 Press@ithemove.com

<저작권자 © THE MOVE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5
default_side_ad1
default_nd_ad2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4
default_nd_ad6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