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국립민속박물관 장상훈 신임 관장, "2031년 세종시 이전 추진 중"

기사승인 2024.06.17  08:49:03

공유
default_news_ad2
장상훈 국립민속박물관장이 취임 간담회에서 세종시 이전과 2024년 운영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2031년 세종시로 이전을 앞두고 있는 국립민속박물관은 6월 12일, 신임 장상훈 관장 취임 한 달을 맞아 기관 운영의 방향과 세종시 이전 후 계획을 발표하는 언론 간담회를 개최했다.

장상훈 관장은 올해 박물관의 목표를 ‘한국 생활문화 콘텐츠 축적과 소통’, ‘박물관 콘텐츠의 개방과 공유, 활용’이라고 밝히며, 한국민속문화의 세계화와 국제교류 확대를 강조했다. 

현재 국립민속박물관은 세종 이전의 출발점에 서 있다.

세종시 이전 관련해 쏟아지는 질문에 장관장은 "세종에서 새롭게 문 여는 국립민속박물관은 중남부권의 핵심 문화시설이자 문화 향유의 중심으로 세계 문화의 전당이자 세계 문화가 살아 숨 쉬는 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립민속박물관의 올해 세부계획으로는 먼저  ‘한국 생활문화 콘텐츠 축적과 소통’으로 《아버지》특별전과 같이 세대와 계층을 잇는 프로그램 발굴, ‘고양이’· ‘커피’ 등 시대와 사회 이슈를 공감할 수 있는 콘텐츠 확장, 지역 박물관과 연계한 민속문화 프로그램 운영, 그리고 《매듭, Korean Knots》해외 순회전을 비롯한 한국민속문화의 세계화와 교류 확대를 들었다.

또한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발간을 비롯해 국내외 민속조사 연구성과 축적, 국내 최초 초등교과 맞춤형 교수학습 민속 콘텐츠 플랫폼 구축, 한국문화상자 보급을 통한 국제교류 확대를 꼽았다.

‘박물관 콘텐츠 개방과 공유, 활용’으로는 파주관 수장고의 가치 생산, 양질의 아카이브 관리와 시스템 구축, 세계적 권위의 국제저널 무형유산 발간을 제시했다. 또 세종시로 이전한 뒤에는 중남부권 핵심 문화시설로서 세계 생활문화 유물을 본격적으로 수집해 세계문화박물관을 구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립민속박물관 본관

국립민족박물관(초대 관장 송석하)에 뿌리를 둔 국립민속박물관은 국가 대표 민속 생활사 박물관이다. 개관 이래 다양한 전시를 해오며 관객들과 소통해왔으나 전시의 질(퀄리티)과 깊이에 있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상황이다.

세종 이전을 앞두고 있음에도 여전히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다. 

 

국립민속박물관의 역사는 1924년 일본인 민속학자 야나기 무네요시에 의해 창립된 조선민족미술관이 모태가 되지만, 실질적인 박물관의 시작 연도는 1946년으로 미군정 시대에 개관한 국립민족박물관으로 본다.

그 후 1950년 국립민족박물관은 국립박물관에 흡수 통합되어 남산분관이 됐고, 1966년에 한국민속관으로 분리됐다. 당시에는 독립된 직제나 조직이 없어서 문화재관리국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장주근 상근전문위원이 실질적 운영을 맡았다고 한다. 이후 1975년 <한국민속박물관>으로 명칭 변경 후 1979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속으로 개편되면서 현 명칭이 됐다.

 

급변하는 문화 환경 속에서 성과와 축적을 바탕으로 보다 널리 확산되어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박물관의 사회적 기여와 영향력을 확대해 가고자 할 때, 전시의 콘텐츠와 방향성, 수장고를 비롯한 건축 환경, 무엇보다  관람객들과의 접근성과 소통 방식 등 산적한 과제에 대한 해법을 풀어나가야 한다.

현재 이전의 명분이 되기도 하는 국립민속박물관의 건축물에 얽힌 역사적 비하인드 스토리는 전통적·역사적 뿌리, 조화를 모두 해친다는 것인 바,  이 건축물은 2030년까지 철거하기로 결정됐다. 일제가 의도적으로 훼손한 경복궁의 건축물들이 순차적으로 복원되고 있는 때에, 이전에 이 곳에 위치했던 경복궁 선원전이 2030년 이후에 복원될 예정으로 2031년 이전에는 무조건 이전이 이뤄져야 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박물관이 박제된 옛 유물이 아니라 현재적 시점에서 이용객이 많다는 사실은 고려되어야 할 점이다.

경복궁에 인접한 현재의 장소적 위치가 관광객을 비롯한 내국인 관람객들의 접근성 면에서 실효적 의미와 가치를 도외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장관장은  "관람객 수 감소가 두렵다고 대의를 저버릴 수는 없다"고 말했다.

지역소멸과 관련된 지방 분권화, 지방 집적화의 대세적 의미 넘어 관람객의 이용도는 전시 콘텐츠의 질적 가치와 더불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또 하나의 대의이다.

 

 

강영우 기자 press@ithemove.com

<저작권자 © THE MOVE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5
default_side_ad1
default_nd_ad2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4
default_nd_ad6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