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민속춤의 재해석 최초 정기공연 _'상선약수( 上善若水)'

기사승인 2024.06.13  10:26:52

공유
default_news_ad2

- 국립국악원 4개 연주단 합동 최대 규모, 김충한 예술감독의 국립무용단 첫 무대

국립무용단_상선약수 10_태평무

‘상선약수(上善若水)’는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는 뜻으로, 『도덕경』에 나오는 말이다. 오랜 시간 몸에서 몸으로 전승되며 생명력을 이어가는 민속춤의 흐름이 변화에 능동적인 물의 유연성과 닮았다는 통찰로부터 나온 제목이다.

작년 12월, 국립국악원 무용단 예술감독으로 부임한 김충한 감독의 첫 정기공연 <상선약수(上善若水)>가 6월 27일(목)과 28일(금) 양일간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펼쳐진다.

민속춤을 재해석한 창작 무대로 김충한 예술감독이 연출과 안무를 맡았다.

프롤로그와 에필로그를 포함해서 총 10개의 춤으로 구성됐다. 그 바탕에는 일무, 태평무, 훈령무, 승무, 살풀이, 한량무, 산조춤, 장구춤, 탈춤, 허튼춤이 자리 잡고 있다. 민속춤의 대표 종목들을 문화재 또는 유파의 틀에 가두지 않고 해체하고 재구성해 새로운 시대 감성을 불어 넣었다.

훈령무
훈령무

 

국립무용단 김충한 예술감독의 첫 정기공연

 국립국악원 무용단이 민속춤에 변화를 모색해 정기공연으로 선보이는 것은 최초로 그동안은 민속춤의 원형을 그대로 선보여왔다. 김감독은 이를 위해 새로운 춤 이름을 명명하고, 음악과 의상도 변화를 주었다.

승무

 한편 400편이 넘는 무용과 연극 등 다양한 공연의 음악감독으로 폭 넓은 활동 중인 김태근 작곡가와 국악 작곡과 지휘, 타악 연주자로 활동하며 국악의 깊이를 더한 이경섭 작곡자가 이번 공연에 참여해 음악을 새롭게 작․편곡했다.

 

산조춤
한량무
태평무
태평무

 

 독무에서 군무로 재구성, 웅장함 더해

태평무, 훈령무, 승무, 살풀이 등 주로 독무로 공연되는 민속춤들이 이번 공연에서는 모두 군무로 구성됐다. 민속춤의 본질은 ‘함께하는 것’이라는 데 주목했기 때문이다. 기존에 독무로 익숙한 춤들이 군무로 탄생하면서 무용수들 간의 관계에서 만들어지는 다양한 움직임과 조화로운 모습들이 기대를 모은다.

태평무

 안무와 작곡 과정에는 전통과 현대의 경계에 대한 치열한 고민이 따를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전통의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고 때로는 경계를 넓히려는 움직임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세밀한 해석의 요소들을 만날 수 있어 흥미를 자아낸다.

 

태평무

국립국악원 소속 4개 연주단의 단원 120명이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다. 창작악단의 관현악 오케스트라가 기본 반주를 맡았으며, 정악단의 정가와 대취타, 민속악단의 타악 연주가 함께해 국립국악원의 풍부한 공연 자원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김충한 국립국악원 무용단 예술감독은 “그동안 우리가 견지해온 우리 춤의 뿌리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교각의 견고함이 아니라 그 사이를 넘나들며 도도하게 흐르는 물줄기의 변화무쌍함에 있다”는 것을 생각하며 공연을 만들었다고 기획의도를 밝혔다.

한량무

국립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상선약수>는  6월 27일(목)부터 28일(금)까지 저녁 7시 30분,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열린다.

 국립국악원 누리집(www.gugak.go.kr), 또는 전화(02-580-3300)로 예매할 수 있다. S석 3만원, A석 2만원, B석 1만원 (문의 02-580-3300)

 

[상선약수 공연 개요]

□ 공연명: 국립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상선약수(上善若水)>

□ 일시와 장소: 2024. 6. 27.(목)~28.(금) 19:30, 예악당

□ 공연 내용: 태평무, 훈령무, 승무, 살풀이, 한량무, 산조춤, 탈춤, 장구춤 등 재구성

□ 공연 시간: 90분 내외

 

□ 공연 구성:

#1. 프롤로그

#2. 태평연월, 그 오래된 염원

#3. 일만 년의 기상

#4. 법고는 그리움을 부르고

#5. 마음이 들고 나니 인연의 바다라!

#6. 술잔을 피해가는 학(鶴)

#7. 흩어진 가락의 자유

#8. 또 다른 나를 찾아서

#9. 조화로운 기억

#10. 에필로그: 하나가 되기를 꿈꾸며

 

□ 주요 제작진

- 예술감독/ 연출/ 안무 김충한

- 안무 및 지도 김혜자, 박성호, 백미진

- 대본 이병준

- 작곡/편곡 김태근, 이경섭

- 무대미술 임일진

- 영상 디자인 김장연

- 의상 김지원

이수민 기자 Press@ithemove.com

<저작권자 © THE MOVE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5
default_side_ad1
default_nd_ad2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4
default_nd_ad6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